어지럼증 원인 이석증 증상 치료 방법
이석증이란
이석증은 평형 기관 중 반고리관 내에 위치하는 이석이 이탈하며 생기는 질병으로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주변이 빙글빙글 도는 어지러움이 지속됩니다. 이는 귓속 반고리관의 내부에 이석이라는 물질이 흘러 다녀서 발생하게 됩니다. 이석은 반고리관 주병에 위치하며 균형을 유지하는데 관여하는 물질입니다. 이석이 자리하고 있는 위치에서 빠져 나와 반고리관 내부 액체에 흘러 다니거나 붙어 있게 되면 자세를 느끼게 되는 신경을 자극하여 어지럼증이 생깁니다. 원래 명칭은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 이며 특히 40~50대 이후 더 잘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석증 증상
전형적인 예는 기상이나 취상, 뒤척임 등으로 단시간 천장이 빙글빙글 돌거나 나락으로 가라앉는 느낌을 받습니다. 종종 메스꺼움이나 구토를 동반하며, 걸으면 푹신푹신하고 발밑이 흔들려 똑바로 걸을 수 없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은 날마다, 또 하루 중에서도 수시로 변화해, 컨디션 불량이나 불면으로 호소하기 쉬워집니다.
어지럼증은 경미한 증상에서 공포를 일으킬 정도의 심한 경우까지 다양합니다. 증상이 심하더라도 머리를 움직이지 않고 있으면 수 분 이내로 짧게 지속되지만 일상생활에 불편을 줍니다. 또한 심한 흔들림이나 보행 불안정을 나타내며, 때로는 뇌경색이 의심되기도 합니다.
이석증은 회전성 어지럼이 갑자기 일어나고, 오래 지속되며 치료를 하더라도 쉽게 낫지 않습니다. 어지럼증의 전후 혹은 단독으로도 귀 증상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귀 증상이 왜 일어나는지 미상입니다만, 부유 이석에 원인이 되는 것은 확실합니다. 현기증과 귀증상을 반복하기 때문에 엄청난 수의 환자들이 메니에르병으로 오진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진단 및 검사
이석증은 의사와 상담하여 증상이 맞는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니다. 검사는 환자가 어지러움을 느끼는 자세를 취하게 하여 어지럼을 유발시켜 보는 것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반고리관에 영향을 주어 특정 반고리관이 자극되며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검사를 통해 눈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진단이 불분명한 경우 평형기능 검사, 청력검사, MRI 등의 검사를 추가로 시행합니다.
치료 방법
낮은 베개나 같은 자세로 잠자는 것과 최대한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별다른 치료 없이도 수주 이내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환자가 불편함을 호소 한다면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 위치에서 벗어난 이석을 물리치료를 통해 원위치로 되돌리는 방법과 약물치료가 있습니다. 물리치료가 효과가 있어도 유해한 생활습관을 고치지 않으면 재발 합니다.
갑자기 머리의 위치를 바꾼다거나 자세를 바꾸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텔레비전이나 스마트폰, 독서는 유해합니다. 극심한 어지러움의 동반하는 경우 한 자세로 있는 것이 좋으며 균형을 잃고 낙상하는 경우에 대비하여야 합니다. 또한 운전은 피하고 최대한 움직이지 않고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석증은 잘 재발한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평소 칼슘이 풍부한 음식을 먹고 골밀도를 올려주는 조깅, 걷기 등으로 꾸준하게 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타민D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도 예방의 방법입니다. 또한 옆으로 잠을 자는 자세가 이석증 발병의 원인이기도 합니다. 옆으로 자는 수면자세는 이석증 뿐만 아니라 척추 변형, 어깨 통증 등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천장을 보고 똑바로 누운 자세로 자는 것을 권합니다.
이상 이석증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저 역시 종종 이석증이 재발하여 극심한 공포까지 느끼곤 합니다. 평소 일상 속에서, 취침 중에도 불쑥불쑥 찾아오는 이석증으로 일상생활이 힘들기도 합니다. 평소 꾸준한 운동과 스트레스를 조절해 가며 질 좋은 음식을 먹는 습관이 중요합니다.